[헤럴드DB] |
[헤럴드경제=김대우 기자]정부의 공공부문 정규직화 정책에 따라 정규직으로 전환된 비정규직 노동자가 5명 중 1명꼴로 자회사에 고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고용노동부가 ‘공공부문 정규직화 가이드라인’ 발표 2주년을 맞아 발표한 공공부문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실적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으로 정규직 전환결정이 내려진 공공부문 비정규직은 총 18만4726명으로 집계됐다. 2020년까지 정규직화 목표인원(20만5000명)의 90.1%에 해당한다.
정규직 전환 결정이 내려진 인원 가운데 실제로 전환이 완료된 인원은 15만6821명이다. 나머지는 용역 계약 기간 등이 끝나지 않아 아직 비정규직으로 남아 있는 인원으로, 순차적으로 정규직으로 전환될 예정이다.
정규직 전환을 마친 인원을 정규직화 방식으로 분류하면 직접고용 12만6478명(80.7%), 자회사 고용 2만9914명(19.0%), 사회적기업·협동조합 등 제3 섹터 고용 429명(0.3%) 등이다. 5명 중 1명꼴로 자회사에 고용된 셈이다. 자회사 고용 방식은 일부 처우개선이 있다고 하더라도 간접고용의 틀이 유지되므로 고용 불안이 남아 정규직 전환으로 볼 수 없다고 노동계는 주장한다.
이에 따라 자회사 고용 방식은 정규직화가 진행 중인 공공부문 곳곳에서 논란이 되고 있다. 한국도로공사에서는 톨게이트 요금 수납원들의 일부가 자회사 고용을 거부해 집단해고 사태로 이어졌다. 자회사 고용 방식의 정규직 전환 인원은 중앙부처와 자치단체, 교육기관의 경우 1명도 없지만, 공공기관은 2만9333명에 달해 대부분을 차지한다. 나머지 581명은 지방 공기업이다.
공공기관에서 자회사 고용 방식의 정규직 전환 인원 비율은 41.0%다. 비정규직 10명 중 4명이 자회사 고용 방식으로 정규직 전환을 한 셈이다.
이재갑 노동부 장관은 지난 22일 기자간담회에서 "일부 공공기관에서 정규직 전환 방식을 둘러싸고 갈등이 지속하고 있다"며 "자회사가 안정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고용부는 공공부문 정규직화로 비정규직의 고용 안정뿐 아니라 처우 개선도 단계적으로 추진 중이라고 강조했다. 한국노동연구원이 지난 5월 정규직 전환 인원 1815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환 전보다 연봉이 평균 391만원(16.3%)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5점 만점인 만족도 설문에서도 고용 안정 4.34점, 정년까지 근무 가능성 4.15점, 소속감 증가 3.99점으로, 만족도가 높은 수준으로 파악됐다.
이 장관은 "처우 개선을 체감하기 어렵다는 지적도 있지만, 이는 각 기관의 예산 사정 때문"이라며 "관계 부처와 긴밀히 협의해 분야별, 기관별로 처우 수준을 면밀히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처우가 지속적으로 개선되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공공부문에서 정규직 전환이 완료된 인원을 정규직 채용방법으로 나눠 보면 전환 채용이 82.9%, 경쟁 채용이 17.1%였다. 정부의 정규직 전환 가이드라인은 전환 대상 일자리에 있는 비정규직 노동자를 그대로 정규직화하는 전환채용을 원칙으로 하되 전문직 등 청년이 선호하는 일자리에 대해서는 경쟁 채용을 할 수 있도록 했다.
dewkim@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