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ace of global warming has been accelerating beyond expectations. Since 2023, the global average temperature rise relative to the pre-industrial era has already exceeded 1.5 degrees Celsius―the threshold set under the Paris Agreement and emphasized by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If such high temperature last for an extended period, it will raise major concerns globally over the failure to meet global targets. The world will then face an accelerated materialization of climate change-driven physical risks, such as severe typhoons and hurricanes, floods, heavy rainfall, wildfires, heat waves, drought, sea level rise, and overall temperature increases.
I have launched at ADBI-ADB Climate Finance Dialogue last Novembre. As part of this initiative, we organized a side event during the Asian Development Bank (ADB) annual meeting in Tbilisi, Georgia, last month. The event featured my introductory presentation, followed by a panel discussion with Fiji‘s Deputy Prime Minister, two financial authorities from Southeast Asia, and myself. From these discussions, we identified two major challenges for Asia.
Greater Support Needed for Adaptation Objectives
The first challenge is addressing the significant damages already being experienced by island nations and coastal areas in Asia due to global warming. The second challenge is the need for all Asian countries, particularly China, Japan, and South Korea, which have large manufacturing and heavy industrial bases, to accelerate their 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to curb the progression of climate change. Since Asia depends heavily on coal and other fossil fuels, taking climate mitigation actions is urgently needed.
Several island nations and coastal regions particularly in South and Southeast Asia are already experiencing the severe impacts of climate change. These areas face significant losses and suffering, including damage to fisheries, agriculture, and tourism; reduced carbon absorption due to loss of biodiversity and coral reefs; and scarcity of drinking water. For low-income countries in these regions, climate adaptation measures to mitigate damage must be prioritized. This is why the Loss and Damage fund was established at the 28th Conference of the Parties (COP28) to the UN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last year. More than $700 million has been pledged so far, mainly from developed countries, but this is only a small portion of the estimated needed amount. While more financial support must be provided, policies to enhance resilience to climate change in the recipient countries are urgently needed.
| ||
A villager walks through a dried-out pond on a hot summer day at Bandai village in Pali district on May 11, 2022. [AFP] |
Need to Accelerate Climate Mitigation Measures and Information Disclosure
Asia heavily depends on coal-fired power generation. China, the world‘s largest emitter of greenhouse gases (GHG), owes its emissions to its large economy and extensive use of coal, which also makes up 60% of its energy generation. While China is significantly investing in renewable energy and leading in the adoption of renewable energy and electric vehicles (EVs), additional measures are expected to meet its goals of peaking carbon emissions by 2030 and achieving net zero by 2060.
Other Asian countries, such as India, Indonesia, Vietnam, Japan, and South Korea, also rely heavily on coal-fired power generation, with coal accounting for approximately 75%, 61%, 32%, and 33% of their energy generation, respectively. In India, both population and economic growth are driving increased electricity generation, with substantial reliance on coal-fired power. In addition, energy demand in India and some Southeast Asian countries is growing, reflecting growing manufacturing activities, amplified by geopolitical risks and the resultant reallocation of foreign direct investment and production locations from foreign companies. There is concern that GHG emissions in Asia will continue to rise significantly unless further global warming mitigation measures are implemented. Many coal-fired power plants in Asia are relatively young, averaging around 10 years old. Thus, waiting another 30-40 years for these plants to become outdated and closed while adding low-carbon facilities will not be sufficient to address regional global warming. Therefore, the real challenge is how to significantly reduce emissions from existing power plants.
지난달 2일 조지아 수도 트빌리시에서 열린 ADBI-ADB 아시아 기후 금융 대화 패널 토론에 참석한 필자(사진)는 주제 발표자로 나서, 기후 금융을 축소하는 주요 과제와 주요 지표, 특히 온실가스 배출에 대한 표준화된 지표에 대한 더 많은 데이터의 필요성과 중앙은행, 규제기관 및 정부 간의 인식 제고의 필요에 대해 자세히 설명했다. [출처 ADB] |
How Will Asia Plan to reduce GHG Emissions?
Since the costs associated with using fossil fuels are still low in Asia, comprehensive policies such as carbon pricing, emissions regulations, subsidies, and public investments to promote the transition to a low-carbon economy are essential. Increasing renewable energy and developing other new technologies such as carbon capture and storage (CCS), direct air capture (DAC), and co-firing with hydrogen might be needed to reduce, capture, remove GHG emissions and store them underground permanently. Additionally, there are discussions in Southeast Asia about the early closure of coal-fired power plants, as highlighted in the ASEAN Taxonomy and Singapore-Asia Taxonomy. However, financing the costs associated with such closures is very challenging, and new financial mechanisms, such as the creation of transition credits promoted by Singapore, need to be explored further across the region.
Moreover, China, Japan, and South Korea should start examining more concrete measures to reduce GHG emissions in hard-to-abate sectors. These sectors, which account for about 20-30% of global emissions, include aluminum, cement, chemicals, steel, aviation, and shipping, and require new technology and substantial investment to achieve significant emissions reductions. The likelihood of installing CCS facilities to reduce remaining emissions is much higher in some of these sectors than in others. Reducing emissions in Asia hinges on the collaboration of Asian countries. Sharing the costs of innovation and investment associated with the transition of these sectors toward net zero could accelerate emissions reductions.
| ||
Smoke billows from a chemical factory in Hefei in China''s Anhui province. China, the world''s top greenhouse gas emitter. [Reuters] |
Current Status of Corporate Disclosure in Asia
Globally, substantial funds are required to mitigate climate change. To achieve the internationally agreed goal of reducing GHG emissions to net zero by around 2050, at least $4 trillion per year is estimated to be necessary. Emerging and developing countries lag far behind advanced countries with more technology and financial resources in advancing low-carbon initiatives. It is estimated that clean energy investment alone will need to quadruple from the current level of less than $1 trillion by around 2035 in emerging and developing countries. In Asia, excluding China, a substantial amount of investment capital will be required.
In Asia, there is a high expectation for private capital to promote significant investments to move toward a low-carbon economy. It is important not only to attract existing ESG investors from advanced countries but also to draw in funds from a broader range of investors and banks. For this to happen, investors and banks need to be able to estimate the returns and risks of their current and future investments, and for that, it is essential for companies to disclose climate-related information. The standardization of such disclosures is gradually progressing. Without consistent disclosure standards across countries, it is difficult for fund providers to trustfully invest their money in companies and industries.
There are some positive movements towards the standardization of disclosure criteria. The standards announced last year by the International Sustainability Standards Board (ISSB), established by the In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s (IFRS) Foundation, are set to become the global standard. Many influential international organizations, such as the International Organization of Securities Commissions (IOSCO) and the Basel Committee on Banking Supervision (BCBS), in addition to the G7 and G20, have officially endorsed these standards. Gradually, it is expected that countries will legally mandate companies to disclose according to these standards. In Asia, Singapore and Hong Kong will be the first to make the standards mandatory from around 2025.
For investors and financial institutions, corporate GHG emissions data is crucial. Information disclosure will be required not only for emissions from domestic and overseas factories and purchased electricity but also from suppliers and users. There are still many Asian countries that are not aware of the global disclosure trends. Thus, the resultant disclosure and data gaps among countries may affect the allocation of funds across the region, benefiting those who take prompt actions.
Inevitable Impact on Small and Medium-Sized Companies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MEs) will be impacted by global information disclosure trends, even if they are not directly subject to mandatory requirements. This is because SMEs, as suppliers to large companies, are likely to be requested to disclose their own GHG emissions by these large client companies. Additionally, SMEs may face requests from banks to disclose GHG emissions, and financing conditions may be adjusted based on disclosure and progress in the future.
In conclusion, countries and companies that lag behind in global disclosure trends may experience decline in capital inflows compared to those advancing disclosure efforts in the future. Information gaps are expected to influence the investment and lending decisions of investors and banks, thereby affecting borrowing costs for fundraisers. It is essential for all countries and companies to rapidly deepen their understanding of climate risks and increase their awareness.
지구 온난화가 예상보다 빨리 가속화되고 있다. 2023년 이후, 세계 평균 기온 상승 폭은 이미 산업화 이전 대비 섭씨 1.5 도를 돌파했다(산업화 이전 대비 1.5도는 파리기후협약에서 설정하고 유엔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에서 강조한 기준치다). 이 높은 기온이 장기간 이어지면, 글로벌 목표 달성 실패에 대한 주요 우려가 세계 곳곳에서 깊어질 것이다. 그렇게 되면 전 지구적으로 강한 태풍과 허리케인, 홍수, 폭우, 들불, 폭염, 가뭄, 해수면 상승, 그리고 전반적 기온 상승에 이르기까지 기후변화로 인한 물리적 위험의 현실화에 가속도가 붙을 것이다.
필자는 작년 11월 ADBI(아시아개발은행연구소)-ADB(아시아개발은행) 기후금융대화(Climate Finance Dialogue)를 발족했다. 이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우리는 지난 달 조지아 트빌리시에서 열린 ADB 연차총회 기간 중에 부대행사를 마련했다. 이 행사에서는 필자가 소개 발표를 하고, 이어 피지 부총리, 두 곳의 동남아시아 금융당국, 그리고 필자가 패널 토론 시간을 가졌다. 이 토론에서 우리는 아시아가 직면한 두 개의 주요 과제를 확인했다.
적응 목표에 대한 지원 강화 필요
첫 번째 과제는 지구 온난화로 인해 아시아 지역 도서국과 연안 지역이 이미 겪고 있는 막대한 피해를 해결하는 것이다. 두 번째 과제는 거대한 제조·중공업 기반을 가진 중국, 일본, 한국을 위시해 모든 아시아 국가가 기후변화의 진행을 억제하기 위해 자국의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에 박차를 가해야 한다는 점이다. 아시아는 석탄과 기타 화석 연료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만큼 조속한 기후 완화 조치가 필요하다.
특히 남아시아와 동남아시아의 일부 군도와 연안 지역은 이미 심각한 수준의 기후변화 영향을 체감하고 있다. 어업, 농업, 관광 피해, 생물다양성과 산호초 손실로 인한 탄소 흡수량 감소, 식수 부족 등 이 지역이 겪고 있는 손해와 고통은 상당하다. 이 지역의 저소득국은 피해를 완화할 수 있는 기후적응 대책을 우선순위로 삼아야 한다. 작년 제28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8)에서 손실과 피해 기금(Loss and Damage Fund)이 출범한 것도 이런 이유다. 지금까지 선진국을 중심으로 7억 달러 이상의 출연금이 약속됐지만, 이것은 추정 필요금액의 극히 일부분에 지나지 않는다. 더 많은 재정적 지원이 필요한 한편, 기후변화에 대한 수혜국의 회복 탄력성을 강화하기 위한 정책 또한 절실하다.
기후 완화 대책과 정보 공시 가속화해야
아시아는 석탄화력발전 의존도가 높다. 세계 최대 온실가스 배출국인 중국의 경우, 큰 경제 규모와 광범위한 석탄 사용(석탄은 중국 에너지 생산의 60%를 구성한다)이 배출의 원인이다. 중국이 재생에너지에 막대한 투자를 하고 있고 재생에너지와 전기차(EV) 보급에 앞장서고 있지만, 중국이 2030년을 정점으로 탄소 배출량을 감축하고, 2060년까지 탄소 중립을 달성하겠다는 두 목표를 이루려면 더 많은 조치가 요구된다.
인도, 인도네시아, 베트남, 일본, 한국 등 다른 아시아 국가 역시 화력발전에 대한 의존도가 높다. 국내 에너지 생산에서 석탄이 차지하는 비율이 각각 75%, 61%, 32%, 그리고 33% 정도에 이른다.
인도의 경우, 인구와 경제 성장이 전력 생산 증가의 요인이며, 전력 생산의 상당 부분을 석탄화력발전에 의존하고 있다. 또 인도와 일부 동남아시아 국가에서는 에너지 수요가 늘고 있는데, 이는 지정학적 위험과 그로 인한 외국인 직접투자 및 외국기업의 생산지역 재배치에 따라 제조업 활동이 증가한 탓이다. 더 이상의 지구 온난화 조치가 시행되지 않는다면 아시아의 온실가스 배출량이 계속 현격히 증가할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된다.
아시아의 화력발전소 상당수는 건설된 지 평균 약 10년 안팎의 비교적 새로 지은 시설이다. 그러므로 앞으로 3~40년간 이 발전소들이 노후화되고 폐쇄되기를 기다리면서 저탄소 시설을 추가해 나가는 것만으로는 역내 지구 온난화 문제를 해결하기에 역부족일 것이다. 따라서 진짜 과제는 어떻게 하면 기존 발전소의 배출량을 크게 줄일 수 있는가다.
아시아는 어떻게 온실가스 배출 감축 계획을 세울 것인가?
아직 아시아에서 화석 연료 사용과 관련된 비용이 낮은 만큼 탄소 가격제, 배출량 규제, 보조금, 저탄소 사회로의 전환을 촉진하기 위한 공적 투자 등 포괄적인 정책이 긴요하다. 온실가스 배출을 저감, 포집 및 제거하고 영구히 지중저장하기 위해 재생에너지의 확대, 탄소 포집·저장 기술(CCS), 직접공기포집(DAC), 수소 혼소(co-firing) 같은 다른 신기술의 개발이 필요할 수도 있다. 나아가 동남아시아에서는 아세안 분류법(ASEAN Taxonomy)과 싱가포르-아시아 분류법에서 강조된 것처럼 석탄화력발전소의 조기 폐쇄에 대한 논의가 진행 중이다.
그러나 폐쇄 관련 비용을 조달하는 것은 무척 힘든 일이며, 아시아 전역이 싱가포르가 추진한 전환 크레딧(transition credit)과 같은 새로운 금융 메커니즘을 모색해야 한다.
더불어 중국, 일본, 한국은 감축하기 어려운(hard-to-abate) 부문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기 위해 더욱 구체적인 대책 마련에 나서야 한다. 세계 배출량의 약 20~30%를 차지하는 이러한 부문에는 알루미늄, 시멘트, 화학, 철강, 항공, 해운 등이 있으며, 유의미한 배출량 감축을 위해서는 신기술과 막대한 투자가 요구된다. 그런데 남은 배출량을 줄일 수 있는 CCS 시설의 설치 가능성은 이러한 부문 간에 편차가 크다. 아시아의 배출량 감축은 아시아 국가 간 협력에 달려있다. 이러한 부문들이 탄소 중립으로 전환하기 위한 혁신·투자 비용을 아시아 국가들이 공유한다면 배출량 감축 속도는 빨라질 수 있다.
아시아의 기업 공개 현황
기후변화를 완화하기 위해서는 전 세계적으로 상당한 규모의 자금이 필요하다. 2050년경까지 온실가스 순 배출량을 0(제로)으로 줄이겠다는 전 지구적으로 합의된 공동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연간 4조달러가 필요할 것으로 추정된다. 신흥국과 개발도상국은 저탄소 계획 추진 면에서 기술적, 금융적 자원이 더 많은 선진국에 뒤처져 있다. 신흥국과 개도국은 청정에너지 투자만 하더라도 2035년 무렵까지 현 수준인 1조 달러 미만보다 네 배가 더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을 제외한 아시아는 엄청난 금액의 투자 자본이 요구될 것이다.
아시아에서는 저탄소 경제로 이행해 가는 과정에서 민간 자본이 상당한 투자를 촉진할 것이라는 기대가 높다. 선진국으로부터 기존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투자자를 유치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더 다양한 투자자와 은행에서 자금을 끌어 모으는 것도 마찬가지로 중요하다. 그러기 위해서는 투자자와 은행이 자신의 현재 및 장래 투자의 수익과 위험을 평가할 수 있어야 하고, 이를 위해 기업이 기후 관련 정보를 반드시 공시해야 한다. 이러한 공시의 표준화가 차츰 진행되고 있다. 여러 국가를 아우르는 일관된 공시 기준 없이는 자금 제공자가 기업과 산업에 자금을 믿고 투자하기 어렵다.
공시 기준 표준화를 위한 일부 긍정적인 움직임이 보인다. 국제회계기준재단(IFRS Foundation) 산하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가 지난해 발표한 기준이 세계적 기준이 될 예정이다. G7, G20뿐 아니라 국제증권감독기구(IOSCO)와 바젤위원회 등 영향력 있는 다수의 국제기구가 이 기준을 공식적으로 지지했다. 점차 여러 국가가 이 기준에 따라 기업 공시를 법적으로 의무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아시아에서는 싱가포르와 홍콩이 최초로 2025년 무렵부터 이 기준을 의무화할 예정이다.
투자자와 금융기관 입장에서는 기업의 온실가스 배출 자료가 몹시 중요하다. 국내외 공장과 구입 전력에서 발생한 배출량과 공급자와 사용자의 배출량에 관한 정보 공시도 요구될 것이다. 아직 세계적인 공시 추세를 제대로 읽지 못한 아시아 국가가 많다. 이로 인한 국가 간 공시 및 데이터 격차는 아시아 전역의 자금 배분에 영향을 주고, 발 빠르게 행동에 나선 국가가 득을 볼 수 있다.
중소기업에 미치는 영향 불가피
중소기업은 의무 요건의 직접 적용대상이 아니더라도 세계적인 정보 공시 추세의 영향을 받을 것이다. 대기업에 대한 공급자로서 중소기업 역시 대기업 고객으로부터 온실가스 배출량을 공개하라는 요구를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중소기업은 은행에서도 온실가스 배출량 공시 요구를 받을 수 있고, 공시 및 향후 진행 상황에 따라 금융 조건이 조정될 수도 있다.
끝으로 세계적인 공시 흐름을 따라가지 못하는 국가와 기업은 앞으로 공시 노력을 기울이는 국가나 기업보다 자금 유입이 줄어들 수 있다. 정보 격차가 투자자와 은행의 투자 및 대출 결정에 영향을 미치고, 결과적으로 자금 조달자의 조달 비용에도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그러니 모든 국가와 기업이 신속히 기후 위험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인식을 제고해야만 한다.
bonsang@heraldcorp.com